재고자산 평가방법 보유기간 회전율
재고자산 평가방법 보유기간 회전율
재고자산 등은 기업의 단기상환능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항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재고자산은 총 자산의 8.8%, 유동자산의 21.4%를 차지하고 있어 반드시 주의를 기울어야 합니다. 지난시간에 이어서 기업의 단기유동성 및 상환능력분석을 위해서 오늘은 재고자산의 평가방법과 보유기간 및 회전율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하거나 생산 과정에 있는 자산 및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투입될 원재료, 소모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산을 말합니다. 예로 상품, 재고품, 원재료 등이 있고 어느 자산이 재고자산으로 분류되려면 그것이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 활동 과정에서 판매되거나 다른 제품의 생산을 위해 사용, 소비되어야 합니다. 유통업에 속한 기업의 재고자산은 대개 하나의 계정(상품)으로 이뤄집니다. 제조업에 속한 기업의 재고자산 계정은 크게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재고(원재료), 생산과정에 있는 재고(재공품), 생산이 완료된 재고(제품)와 같은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재고자산 평가방법
재고자산을 분석 시 재고자산의 금액 및 유동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재고자산평가의 기본적인 접근법은 취득원가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판매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 이하로 하락하면 재고자산은 저가로 평가하여야 합니다. 기업회계기준에서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 저가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의 재무상태표금액을 결정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저가평가를 강제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이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는 어떤 원가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원가흐름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가정은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평균법입니다.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은 먼저 매입한 재고자산이 먼저 팔린다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즉, 매출원가는 기초재고자산과 당기 중 먼저 매입한 항목으로 구성되며, 나중에 매입한 항목이 기말재고자산이 됩니다. 따라서 기말재고자산금액은 최근의 매입원가를 반영합니다.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선입선출법에 따른 매출원가는 재고자산의 최근 취득원가를 반영하지 못하기에 현재의 수익에 현재의 원가가 대응되지 못하고 이익이 과대하게 계상됩니다.
후입선출법
후입선출법은 나중에 매입하거나 생산한 항목의 원가가 현재의 수익에 대응된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가정은 현재의 수익에 최근의 원가를 대응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이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재고자산의 원가는 수년 전의 원가로 계상되기 때문에 최근의 취득원가와 비교할 때 왜곡된 수치로 기록됩니다.
평균법
평균법에 따라 재고자산을 평가하면 재고자산 및 매출원가는 선입선출법과 후입선출법으로 계산한 금액의 중간에 위치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재고자산의 원가는 선입선출법보다는 적고 후입선출법보다는 크며, 매출원가는 선입선출법보다는 크고 후입선출법보다는 적습니다.
재고자산보유기간
재고자산보유기간에 대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고자산보유기간 = 기말재고자산 ÷ 일평균매출원가
재고자산에 대한 유동성분석은 매출채권의 유동성을 분석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보유기간이란 기말재고자산금액을 일평균매출원가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재고자산보유기간은 재고자산이 판매를 통해 소비되는 데 걸리는 기간에 대한 측정치입니다. 매출의 계절적 변동이 심한 기업을 분석할 때는 매출채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석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결산일이 12월 31일인 기업에서 겨울철 매출이 급증하는 경우 이에 따라 재고자산을 많이 보유할 것이므로 재고자산보유기간이 과대계산되고 따라서 유동성은 과소하게 계산됩니다.
구분 | 2023 | 2024 |
기말재고자산(A) | 166,408 | 122,110 |
매출원가(B) | 532,635 | 550,962 |
일평균매출원가(C=B÷365) | 1,459 | 1,509 |
재고자산보유기간(A÷C) | 114 | 81 |
위 예시 기업의 재고자산보유기간은 2023년보다 2024년에 33일 정도 감소하였는데 이는 재고자산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2023년의 경우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자산의 증가, 환율급등에 따른 원재료 수입액의 증가 등의 이유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
재고자산회율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
재고자산회전율을 분석할 때 주의하여야 할 점은 첫 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후입선출법을 사용하는 기업의 재고자산회전율과 선입선출법 또는 평균법을 사용하는 기업의 재고자산회전율간의 차이는 점점 증가합니다. 따라서 상이한 재고자산평가방법을 사용하는 기업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둘째, 재고자산회전기간을 분석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각 산업별로 재고자산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산업에 속한 기업 간의 비교는 무의미합니다.
오늘은 단기유동성 분석을 위한 재고자산의 개념과 평가방법, 보유기간 및 회전율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각 계산법마다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를 기업분석의 기초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경제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수익률(ROA) 자기자본수익률(ROE) 이해 결정요인 (0) | 2023.04.15 |
---|---|
기업의 성장성 지속가능성장률 빠른성장 문제점 (0) | 2023.04.13 |
수익성분석 매출액순이익률 영업이익률 매출총이익률 (0) | 2023.04.13 |
재무상태표접근법 부채비율 부채자기자본비율 리스 (0) | 2023.04.12 |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비교 순운전자본 유동비율 당좌비율 현금비율 (0) | 2023.04.11 |
댓글